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각과 각하의 차이

by 이슈컬리 2025. 3. 26.
반응형

기각과 각하의 차이: 헷갈리는 법률 용어 완전 정리

기각과 각하, 뉴스나 정치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법률 용어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와 차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용어의 정의부터 실제 정치 사건 사례까지 명확하게 정리합니다.


법원의 모습

1. 기각이란?

**기각(棄却)**은 법원이 소송 요건은 갖추었다고 보고 본안 심리까지 진행한 뒤, 그 청구 내용이 법적으로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기각하는 것입니다.

  • 예시: 원고가 “돈을 빌려줬다”고 주장했지만 증거가 부족한 경우 기각됩니다.
  • 특징
      • 본안 심리를 거친 후 결정됨
      • 청구는 성립했지만 법적 판단에서 기각
      • 항소 등 급심으로 다툴 수 있음

2. 각하란?

**각하(却下)**는 소송이나 청구가 형식 요건을 갖추지 못했을 때, 본안 심리조차 하지 않고 절차상 이유로 종료시키는 결정입니다.

  • 예시: 소송 제기 기한이 지났거나, 청구인이 자격이 없는 경우 각하
  • 특징
    • 본안 심리 없이 종료
    • 절차 요건을 갖추지 못함
    • 요건 보완 후 재제기 가능

핵심 키워드: 각하 뜻, 각하 정의, 각하 판례, 각하 사례, 법률 각하, 소송 각하


3. 기각과 각하의 차이 정리

구분 기각 각하
심리 여부 본안 심리를 거침 본안 심리를 거치지 않음
종료 사유 내용상 이유 없음 형식상 요건 부족
비유 설명 시험은 봤지만 떨어짐 자격 미달로 시험 응시 불가
재청구 가능 불가능하거나 제한적 보완 후 가능

4. 정치계 주요 각하 사례 5선

  1. 김조광수·김승환 동성혼 신고 각하 (2016)
    • 서울서부지법, 혼인 요건 미비로 각하
  2. 국회 선진화법 권한쟁의 각하 (2016)
    • 정의화 국회의장 상대 헌재 제소 각하
  3. 임성근 법관 탄핵 각하 (2021)
    • 임기 만료로 소추 요건 상실 → 각하
  4. 의대 증원 반대 집단소송 각하 (2024)
    • 교수·전공의, 소송 자격 불인정
  5. 최순실 특검 연장신청 각하 (2017)
    • 기한 초과로 연장 불가, 헌재 각하

5. 정치계 주요 기각 사례 5선

  1.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기각 (2025)
    • 위법성 부족, 헌재 재판관 5명 기각 판단
  2. 노무현 대통령 탄핵 기각 (2004)
    • 중대한 헌법 위반 아님 → 헌재 기각
  3.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일부 기각 (2025)
    • 증거 부족으로 일부 청구 기각
  4. 의대생 증원 반대 소송 기각 (2024)
    • 주장은 있었으나 법적 근거 미약
  5. 박근혜 탄핵 가처분 신청 기각 (2016)
    • 탄핵 절차 중단 요청, 헌재가 기각

핵심 키워드: 정치 기각 사례, 기각 판결, 헌재 기각, 소송 기각


6. 결론: 기각과 각하, 법률 뉴스 해석의 기준

  • 기각: 심리를 했는데 법적으로 안 맞아서 기각
  • 각하: 아예 요건 미달이라 심리도 못 들어감

두 용어의 차이를 알면 정치나 사회 이슈에서 사건의 성격과 향후 전망을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